top of page

​이웃집

예술가

 '이웃집 예술가'는 미술가, 디자이너, 연극인, 음악가 등 다양한 예술가들이 살고 있는 성북동, 삼선동을 중심으로 생활하는 주민들과 지역 예술가들의 관계 맺기 프로젝트로, 주민들의 일상에서 발생하는 예술적 필요를 예술가들과 함께 해결해보자는 취지로 기획하였다. 성북 예술창작터 옆에 위치한 파출소에 그림을 걸어줄 수 있냐는 지역 경찰관의 소박한 부탁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시작된 프로젝트다.

​ 예술가나 기획자 주도로 이루어지는 상당수의 공공미술 프로젝트와 달리, '이웃집 예술가'는 지역 주민의 자발성이 시작점이자 실행의 중요한 요소로 작용했다. 지역주민들에게 예술가의 도움을 받고 싶은 것들을 신청 받아, 실현 가능성이나 가치 등의 요소를 고려하여 팀을​​ 선정하고 지역예술가와 매칭하는 과정으로 진행했다. 단순하게 주민들의 어려움을 해결해주는 차원에서 나아가, 예술가와 주민이 서로 의견을 나누고 작업을 진행하면서 자연스럽게 관계가 형성되고, 서로의 이웃으로 자리 잡아가기를 기대하며.

앵커 1
1

2016.03-05

​<이웃집 예술가 1>

 

1. 삼선초등학교 앞 벽화 조성

  • ​신청자 : 김민석, 강대식 주민 & 예술가 : 박종호, 이동성

  • 쓰레기와 폐기물 적재로 인해 등학교길이 안전하지 않았던 삼선초등학교 건너편 도로 주변 정리와 벽화 단장













     





2. 나마스떼 코리아(NGO) 사무실 외관 조성

  • ​신청자 : 박은수 주민 & 예술가 : 김상상

  • 성북대 소재 NGO 단체의 성격이 잘 드러나도록 외관 조성















     





3. 성북1치안센터 전시

  • ​신청자 : 한태진 주민 & 예술가 : 청년서예가 그룹 '시옷'

  • ​성북1치안센터 내부의 딱딱한 분위기에 변화를 주어 주민들에게 친숙하게 다다갈 수 있도록 예술 작품 전시

















     

4. 어린이 생애 영상 제작

  • ​신청자 : 허윤서 주민 & 예술가 : 박세연

  • ​초등학교에 갓 입학한 딸의 성장 영상 제작
     

%EC%82%BC%EC%84%A0%EC%B4%88_edited.jpg
나마스떼.jpg
2

2016.08-12

​<이웃집 예술가 2>

 

1. 그린바나나 카페 앞 - 가로 가드닝

  • ​신청자 : 김상상 주민  & 예술가 : 방식

  • 위치 : 서울특별시 성북구 삼선동4가 9-5 앞 천변가로

  • 완료일 : 2016년 11월 16일
     






















 





2. 삼선동 원정대 - 포켓 로켓스토브 제작 워크숍

  • ​신청자 : 삼선동 원정대  & 예술가 : 정길수

  • 위치 : 장수마을 공방작업장(서울 성북구 삼선동1가)

  • 완료일 : 2016년 11월 21일





















     




3. 레스토랑 헝그리부처 - 외벽 디자인

  • ​신청자 : 김세진 주민  & 예술가 : 오승준

  • 위치 :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5길 20

  • 완료일 : 2016년 11월 24일























     




4. 장수마을 - 벽화 제작

  • ​신청자 : 이호린 주민  & 예술가 : 정덕현, 박창식

  • 위치 : 서울특별시 성북구 삼선동1가

  • 완료일 : 2016년 11월 24일













     









5. 마을술집 7번 출구 - 실내 인테리어 및 간판 제작

  • ​신청자 : 강의석 주민  & 예술가 : 이익태

  • 위치 : 서울특별시 성북구 동소문동 1가 22-2

  • 완료일 : 2016년 11월 30일

























     




6. 한신아파트 계단 - 벤치 만들기

  • ​신청자 : 신수현 주민  & 예술가 : 정기엽

  • 위치 : 서울특별시 성북구 동소문동4가 278

  • 완료일 : 2016년 12월 2일




















     








7. 참새의 집 - 식당 공간디자인 컨설팅

  • ​신청자 : 이남주 주민  & 예술가 : 정기황

  • 위치 : 서울특별시 성북구 상월곡동 24-348

  • 완료일 : 2016년 12월 8일





















     







8. 품길 - 캐럴 뮤직비디오 제작























 




9. 행복꽃씨 엽서 - 성북동 가드닝

  • 위치 : 성북동 일대

  • 완료일 : 2016년 12월 16일
     

2-%ED%96%89%EB%B3%B5%EA%BD%83%EC%94%A8_e
3

2017.08-12

​<이웃집 예술가 3>

 

1. 돈암1동 삼성아파트 앞 공간 개선 디자인

  • 신청자 : 송대호, 최수정 주민  & 예술가 : 이행석

  • 위치 : 서울특별시 성북구 동소문로 34길 24

  • 완료일 : 2017년 8월 30일






















     




2. 카페 디터틀 성북동 어린이 그림 워크숍 - 그림책 만들기 

  • 신청자 : 카페 디터틀, 이지연 주민  & 예술가 : 김소담

  • 위치 :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18길 5

  • 완료일 : 2017년 11월 13일


















     








3. 성북동 어린이가 제작하는 성북동 소개 영상 '성북동에 있는 멋진 곳'

  • 신청자 : 허윤서, 신서현 주민  & 예술가 : 강의석

  • 위치 :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18길 5

  • 완료일 : 2017년 11월 19일














     







4. 돈암1동 새마을문고 별별책다방 복도 벽화 및 현판 디자인

  • 신청자 : 김영희 주민  & 예술가 : 이익태

  • 위치 : 돈암1동 주민센터 3층 새마을문고(서울특별시 성북구 정릉로 394)

  • 완료일 : 2017년 11월 21일














     












5. 농협은행 삼선교지점 셔터문 벽화

  • 신청자 : 강성대 주민  & 예술가 : 박창식

  • 위치 : 서울특별시 성북구 동소문로 1

  • 완료일 : 2017년 11월 25일


























     

6. 골목 윈도우 갤러리 프로젝트

  • 신청자 : 신희은 주민  & 예술가 : 지구

  • 위치 :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 53-8

  • 완료일 : 2017년 12월 9일














     




이웃집 예술가 연계프로그램
- 식물심기




















 

​- 어버이날 꽃바구니 만들기



















 

​- 몽땅 플러타너스 프로젝트 콘서트 전시

4

2018.04-2019.04

​<이웃집 예술가 4 : 정릉천 고가하부 공공미술 프로젝트>

'정릉천 고가 하부 공공미술 프로젝트'는 내부순환로의 고가 하부의 버려진 공간, 삭막한 환경에 대한 개선의 목적으로 추진된 프로젝트로, 성북구와 성북문화재단, 홍장오작가가 함께 1년여 간 진행됐다.

1. [ONE워크숍] 훌라후프로 협동조형물 만들기

사전조사를 통해 추출된 정릉천 고가 하부 장소 구축의 키워드로 생태, 스포츠 활동, 놀이, 쉼터의 장소 창출에 대한 주민요구가 많음이 확인됐다.

홍장오 작가의 설치작업 소재로 활용됐던 훌라후프는 우리에게 친숙한 운동기구이자 놀이도구였기에 야외활동을 위한 워크숍 재료로 더욱 친숙하게 이용됐다.

지역주민에게 공간과 조형물의 규모와 설치위치를 알리고 정릉천의 장소성과 일상성이 자유롭게 만나는 체험활동으로 훌라후프 구조물 제작이 진행됐다. 이 활동을 통해 원의 반복과 조합 그리고 주어진 장소에서 어떤 공간적 조형물을 만들어 내는지 함께 확인할 수 있었다.
















 






2. 소원의 정원 만들기

소원의 정원 만들기는 소망의 깃발에 새긴 참여자의 바람을 분절된 공간에서 청각적으로 전달하며 소통해보는 시간이었다.

분할된 장소를 소통을 통해 연결하는 과정을 경험해보고자 했다. 워크숍에서 주민들이 깃발에 남긴 메세지를 작품에 시각화하는 방안을 고민하는 계기가 되었다.






3. 우주화분만들기

사전 현장조사 결과 식물, 자연 등 생태적 공간에 대한 주민의 요구가 높았다.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장소성, 공간성, 소통성에 관한 것들을 경험할 수 있는 워크숍과 식물, 환경, 조형물에 대한 실제적 물질성을 경험하고 의견을 나눌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하고자 일회용 그릇으로 화분을 만들어보는 시간을 가졌다.

작가가 작품의 방향성에 대해 주민들과 좀 더 밀접하게 소통할 수 있는 기회로 삼고자 했고, 정릉천 하부공간이 생태적으로 훼손되지 않으면서 공공을 위한 재생공간이 되기 위한 활동내용이 구체화되는 계기가 됐다.

 

 

 

 

 

 






4. 정릉천 고가하부 공공미술 톺아보기

​주민 인터뷰를 통해 진행됐던 내용을 공유하며 장소에 대한 작가적 입장과 현실적 상황을 고려해보고자 했다. 

다양한 주민들이 놀이처럼 즐기는 장소를 구현하면서도 남녀노소 모두를 포함하는 사용자 대상층에 대한 고려로 안전, 관리적 측면에 대해 논의했다.

​워크숍 이후에는 현장 설문을 통해 작품 선호도 조사를 실시하였고, 실디자인 방향을 수정하고 주민의견을 수렴할 수 있었다.




우주정원

Cosmic Garden

'우주정원'은 정릉천변에서의 쉼을 위한 꽤나 실용적인 의자다. 동시에 이것은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우주선 모양의 군집이기도 하다. 현실적 삶의 지루함에서 잠시나마 벗어날 수 있는 순간을 제공하는 장소이기를 바란다. 보기 좋은 어떤 것, 쓰기 좋은 어떤 것, 그냥 옆에 있어도 괜찮은 어떤 것이 되기를 소망한다. 끝으로 설치기간 중 지나가시는 한 분이 나에게 던진 질문이 여전히 내가 풀어야 할 어려운 문제로 남아 여기에 적는다.

"이거 앉아도 되는 거에요?"

- 홍장오(정릉천 고가하부 공공미술프로젝트 작가)

bottom of page